[인더스트리뉴스 박현우 기자] 공공·기업용 시각지능 AI 통합 솔루션 기업 한국딥러닝(대표 김지현)이 100억원대의 시리즈A 투자를 진행 중이라고 1일 밝혔다.

한국딥러닝은 100억원대의 시리즈A 투자 유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사진=한국딥러닝]" height="338" loading="lazy
한국딥러닝은 100억원대의 시리즈A 투자 유치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사진=한국딥러닝]

이번 투자는 트랜스링크인베스트먼트가 리드하고 SV인베스트먼트가 주요 공동 투자자로 참여했으며, IBK기업은행 등이 참여했다. 한국딥러닝이 설립 5년 만에 처음으로 유치한 VC 투자다.

한국딥러닝은 지금까지 팁스 지원금을 위한 1억원 외에 별도의 투자를 받지 않고 자체 매출 중심으로만 성장해왔다. 이 과정에서 연평균 400%의 고성장을 기록하며 누적 매출 100억원, 고객사 80곳 이상을 확보했다.

한국딥러닝은 지난 5년간 대규모 텍스트·이미지 문서를 학습한 자체 Vision-LLM(Vision-Language Model)을 기반으로 문서 처리 자동화 솔루션을 개발해왔다. 공공기관과 의료, 금융 등 다양한 도메인의 실전 환경에서 문서 자동화, 구조화, 검색 시스템을 구축하며 기술력을 검증받았다.

올해 3월 출시한 문서 기반 AI 에이전트 ‘딥 에이전트(Deep Agent)‘는 기존 OCR의 한계를 넘어 문서의 시각 구조와 언어 의미를 동시에 해석해 실질적인 업무 조치까지 수행하는 차세대 문서 AI 솔루션이다. 계약서를 업로드하면 핵심 조항을 자동 추출하고 리스크를 분석해 담당자에게 알림을 보낸다.

별도의 데이터 수집이나 학습 없이도 2주 이내 도입이 가능하며, 97~99% 수준의 정확도로 문서 처리 시간을 80% 이상 단축한다. 이러한 기술력으로 출시 두 달 만에 약 11억원 규모의 계약을 따내며 시장성을 입증했다.

트랜스링크인베스트먼트 관계자는 “한국딥러닝은 문서 AI 분야에서 독보적인 Vision-LLM 기술과 빠른 실행력을 갖춘 팀”이라며, “공공·기업 고객을 통해 이미 시장성을 입증한 만큼, 글로벌 시장에서도 빠르게 확장할 잠재력이 크다고 판단해 리드 투자에 나섰다”고 말했다.

한국딥러닝 김지현 대표는 “팁스 지원금을 위한 외에는 외부 투자 없이 기술력만으로 누적 매출 100억원과 80개 고객사를 확보하며 사업성을 입증했다“며, “이번 투자를 통해 AI 인재를 대폭 확충하고 딥 에이전트를 글로벌 수준의 문서 AI 플랫폼으로 고도화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모든 기업이 복잡한 문서 업무에서 해방되도록 AI 도입 장벽을 계속 낮춰나가겠다“고 밝혔다.

한편, 이번 시리즈A 라운드는 현재 진행 중이며, 최종 클로징 시점에 따라 투자 금액 및 참여 투자자 구성은 변경될 수 있다.

저작권자 © FA저널 무단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