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더스트리뉴스 최종윤 기자] 최근 국내 로봇 산업에서 KAIST 출신 연구진들이 주축이 된 창업 기업들이 잇달아 성과를 내며 주목받고 있다.
휴보를 개발한 오준호 교수가 세운 레인보우로보틱스는 세계적 휴머노이드 기술력을 앞세워 상장에 성공했고, 기계공학과 공경철 교수가 창업한 재활·의료 로봇 전문기업 엔젤로보틱스 역시 상장에 성공하며 연구실 기반 창업의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후에도 다양한 로봇 스타트업이 배출됐다.
푸른로보틱스, 위로보틱스, 트라이앵글로보틱스 등을 비롯해 △사족보행 로봇을 개발하는 라이온로보틱스 △자율보행 로봇에 주력하는 유로보틱스 △보행형 이동 로봇을 상용화하는 디든로보틱스 등이 대표적이다.
특히 라이온로보틱스는 최근 230억원 규모의 시리즈 A 투자를 유치하며 시장의 기대감을 모았다.
주력 제품인 사족보행 로봇 ‘라이보(Raibo)’는 강화학습 기반 AI와 8시간 구동 성능을 앞세워 비정형 지형 보행, 마라톤 풀코스 완주 등 실제 환경에서의 내구성을 입증했다.
유로보틱스는 35억원 시드 투자와 15억원 규모 딥테크 팁스 선정을 잇달아 확보했다.
제어 및 자율보행 기술을 내재화하며 휴머노이드 적용 가능성을 확장하고 있으며, 국방·건설·물류 등 다양한 분야로의 적용을 준비하고 있다.
디든로보틱스는 철제 벽면과 천장을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보행형 로봇으로 주목받고 있다.
핵심 부품 내재화, 강화학습 기반 제어, 특수 자석발 기술을 결합해 조선업 현장에서 용접·비파괴 검사 등 고난도 작업을 수행할 수 있으며, 70억원 규모의 Pre-A 투자 유치와 조선소 공급 계약으로 상용화 가능성을 입증했다.
이처럼 연구실 창업을 기반으로 한 기업들이 국내외 투자 성과와 기술 상용화 성과를 내면서, 한국 로봇 산업의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업계는 특히 이들 기업이 인공지능과 로봇 하드웨어를 융합한 ‘피지컬 AI(Physical AI)’ 영역에서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한편, KAIST는 최근 딥테크 스케일업 밸리 사업 주관기관으로 참여해 국비 105억원을 확보했다.
이를 기반으로 기업–기술–인재가 선순환하는 로봇 산업 생태계를 조성하고, 차세대 로봇 허브로 도약할 계획이다.
이번 사업에는 유로보틱스와 엔젤로보틱스도 함께 참여한다.
KAIST 배현민 창업원장은 “KAIST 출신 연구진들이 도전적 창업을 통해 글로벌 무대에 진출하고 있다”며, “창업원이 적극적으로 지원해 KAIST가 ‘딥테크 창업의 허브’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KAIST 이광형 총장은 “KAIST는 교육과 연구를 넘어 창업을 통해 사회적 가치를 창출하는 혁신의 산실”이라며, “이번 로봇 창업 기업들의 성과는 KAIST가 세계 로봇 산업의 패러다임을 선도하는 중심에 서 있음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이어 이 총장은 “특히 인공지능을 물리적 세계와 융합한 ‘피지컬 AI(Physical AI)’ 시대를 준비하는 KAIST의 비전과도 맞닿아 있다”며, “앞으로도 KAIST는 학문과 산업을 잇는 혁신을 통해 글로벌 기술 리더십을 강화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